Note

[교육심리] 동기이론 본문

#학습/교육학이론과 실제

[교육심리] 동기이론

참잘했을까요? 2021. 9. 28. 19:28
반응형

1. 동기의 종류

- 동기 (motivation) : move(움직이다)와 같은 어원. 인간의 행동을 유발하고, 행동의 방향을 유지시켜주는 힘.

1) 외재적 동기(extrinsic motivation)

- 동기의 근원이 외부에 존재. 즉, (보상, 사회적 압력, 벌 등)과 같은 외부의 통제로부터 유발.

- 학습에 수동적으로 임하게 할 수 있음. 외적보상에 길들여지면 점점 더 보상의 강도를 높여야 같은 수준의 동기를 유발할 수 있게 됨.

2)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

- 개인의 내적 요인, 즉 욕구, 호기심, 흥미, 가치, 신념, 포부 등에 의해 유발되는 동기.

- 자발적,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확률이 높아짐.

3) 실제 학교 수업에서는 외재적, 내재적 동기 모두 필요함.

4) 동기의 속성

① 동기의 발생적 기능 행동을 하게끔 하는 작용이며, 시발적 기능이라고도 함. 즉, 동기가 유발된다는 것은 목표를 향해 움직인다는 것임. 동기는 목표 혹은 대상이 존재하기 때문에 행동이 선별적으로 일어남.

② 동기의 방향적 기능 동기는 목표가 있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성이 있음. 즉, 동기란 내적 힘이라는 뜻이며 동시에 행동을 규제하고 제어하는 방향타의 기 제가 존재한다는 것을 말함.

③ 동기의 강화적 기능 동기는 행동의 원동력이 되어 행동을 강화시킴. 강도가 약하면 그 행동은 지속되지 않고 감소하거나 소멸하며 강도가 강해야 그 4 행동은 지속됨.

2. 동기 이론의 종류

동기이론의 종류

 

행동주의적 접근

: Hull의 욕구감소 이론(drive reduction theory).

- 인간의 행위는 내적인 욕구(drive)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진행. + 생리적 욕구가 결핍되면 심리적 긴장이 따르게 되므로 이러한 상태를 벗어나기 위해 행동을 함. = (사람들의 모든 행동이 욕구나 충동으로 인한 긴장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진행 됨.)

- Hull은 욕구를 1차적 또는 기본적 욕구와 2차적 또는 학습된 욕구로 분류함.

① 1차적 또는 기본적 욕구: 생리적인 타고난 욕구로서 배고픔, 목마름, 고통 회피, 하등동물에서의 성충동 등

② 2차적 또는 학습된 욕구: 경험을 통해서 배운 욕구로서 돈에 대한 욕구, 좋은 물건에 대한 욕구, 권력에 대한 욕구 등.

-> 인간의 많은 행동이 욕구감소이론으로 설명하기에는 어려운 경우가 있음.

예) 사람들이 공포영화를 보는 것을 즐김. 놀이공원의 자이로드롭 타기 번지 점프(bungee jumping) 욕구감소이론의 틀 안에서는 두려움이라는 것은 사람들 이 감소시키기를 원하는 욕구로 간주됨.

- 습관 강도(habit strength, 자극과 반응의 연합정도)가 강해도 욕구가 없으면 행동은 일어나지 않음.

- 반응잠재력(reaction potential)= 욕구X습관강도

- 사람마다 보상의 효과에서 개인차가 있는 것은 욕구가 서로 다르기 때문.

인본주의적 접근 (humanistic psychology)

(1) 특징

1960년대 초 C. Rogers, A. Maslow, G. Allport 등에 의해 당시 심리학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던 정신분석학과 행동주의에 대한 반동으로서 발전되었기 때문에 제3세 력의 심리학(third force psychology)이라고도 불림.

②인본주의 심리학자들은 행동주의와 정신분석은 주로 동물이나 비 정상인을 대상으 로 인간 현상을 기술하려 했음에 반하여, 인간 자체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전체적인 접근을 시도함.

③개인의 지각과 내부적 요구에 대한 반응에 초점을 맞추고, 전체로서의 인간 혹은 자아를 중시하여 중심 개념으로 자아개념(self-concept)을 강조함.

④실존주의 철학에서 많은 영향을 받은 인본주의 심리학은 통합된 전체(organized whole)로서의 인간관을 주장함. 즉 건전한 인간 자체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으며 인간의 고유한 가치, 능동적인 성장 잠재력, 주관적이고 현상학적인 경험, 잠재적 창조성 등을 강조함.

(2) Maslow의 욕구위계(need hierarchy)이론 -매슬로우(Maslow, 1908-1970)

Maslow의 욕구 위계이론

-인간의 욕구는 위계를 이루고 있고, 하위단계의 욕구가 충족되면 그 다음 단계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행동함

<욕구의 종류>

-결핍욕구(deficiency needs): 이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면 결핍을 느끼고, 이 욕구가 충족되면 동기는 감소함

-성장요구(growth needs)/존재욕구(being needs): 이 욕구는 충족될수록 동기유발이 계속 됨

① 생리적 욕구 배고픔, 갈증, 수면과 같은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needs)는 인간의 욕구 중에 서 가장 기본적이고 강력한 욕구이기 때문에 이러한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어떤 다른 욕구도 발생하지 않는다. 굶주린 사람은 단지 음식만을 생각하고 갈망한다. 그러나 일단 굶주림이 해결되면 그 사람은 더 이상 음식물에 매달리거나 생각하지 않 는다. 즉 생리적 욕구가 해결되면 그것은 더 이상 행동을 지시하거나 통제하지 못 한다.
② 안전의 욕구 안전의 욕구(safety needs)는 안전과 안정, 보호, 질서, 법, 한계에 대한 욕구이다. 어린아이들은 낯선 사람이나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 접근하려고 하지 않는다. 또한 이들은 두려움을 주는 자극에 즉각적인 반응을 나타내며, 무엇이든지 할 수 있는 8 자유방임적인 환경보다는 한계가 분명한 환경, 즉 예상할 수 있는 환경에서 더 안 전을 느낀다. 정상적인 성인들이 미래를 위하여 저축을 하거나 보험에 가입하고, 직 장을 쉽게 바꾸려고 하지 않는 것도 안전의 욕구를 추구하기 때문이다.
③ 소속과 사랑의 욕구 생리적 욕구와 안전의 욕구가 합리적으로 좋게 만족되면 소속과 사랑의 욕구 (belongness & love needs)를 발전시킨다. 소속과 사랑의 욕구는 타인과 친밀한 관 계를 맺고 사랑을 하고 사랑을 받고 싶어 하는 욕구이다. 이러한 욕구들은 친구나 연인, 동료들과의 친밀한 관계나 특정한 단체 안에서 형성된 사회적 관계를 통해 표현된다.
④ 존중의 욕구 존중의 욕구(esteem needs)는 자기 존중의 형태와 타인으로부터 존경받고 싶은 욕구의 형태로 나타난다. 존중의 욕구가 강해지면 스스로 유능해 지려고 노력하며 다른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기 위해 명성이나 지위를 추구한다. 존중의 욕구가 충 족되면 자신감이나 유능감을 경험하게 되지만 충족되지 못하면 열등감과 무력감을 느끼고 자신의 능력을 확신하지 못하게 된다.
⑤ 자아실현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self-actualization needs)는 자기가 되고 싶어 하는 존재가 되고 자 하는 욕구로서 자신의 잠재력과 능력을 최대한으로 실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 아실현의 욕구에는 알고 싶고 이해하고 싶은 지적 욕구(cognitive needs)와 아름다 움, 질서, 조화, 완성 등을 추구하는 심미적 욕구(aesthetic needs)가 포함된다. 자아 실현은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날 수 있다. 어떤 사람에게는 그것이 이상적인 어머니 가 되고자하는 바램의 형태가 될 수 있고, 어떤 사람에게는 운동선수, 또 어떤 사람 에게는 그림을 그리는 것이나 발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Maslow, 1970).

-비판: 욕구의 위계에 따라 행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

(3) 앨더퍼(Alderfer): ERG(Existence, Relatedness, Growth)이론

Existence(존재욕구)-생리적욕구, 안전의 욕구

Relatedness(관계의 욕구)-애정/소속의 욕구, 존경의 욕구

Growth(성장의 욕구)-자아실현의 욕구

욕구의 위계설 수정: 한 가지 이상의 욕구가 동시에 작용하기도 함.

욕구의 퇴행이 일어나기도 함.

(4) 자기결단(정)(self-determination) 이론 (2019 기출)

-디씨와 라이언(Deci & Ryan)

-왜재적 동기가 내면화되면 내재적 동기가 됨

-학생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 자신이 결정하고, 그 결정에 따라 행동함으로써 자기 행동에 대한 주인이 되고자하는 욕구가 있음

① 유능성(competence) 욕구: 자신이 처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행동하고자 하는 욕구

학생이 왜 도전적이고 호기심을 유발하는 행위를 하고자 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설명해 줌

② 자율성(autonomy) 욕구: 독립성에 대한 욕구

학생은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을 때 동기부여가 더 잘됨

③ 관계성(relatedness) 욕구: 사회환경 속에서 다른 사람과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

사랑과 존경을 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기 원함.

학생들은 인정욕구(need for approval)가 강함: 교사가 자기를 좋아하고, 이해해주고, 공감해준다는 믿음이 있을 때 학교수업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함.

인지주의적 접근

(1) 귀인이론(attribution theory)

- 성공이나 실패에 대해 자신의 행동에 대한 원인을 귀속시키는 경향성.

- Weiner(1986): 성취관련 상황에서 성공과 실패에 대한 원인으로 가장 많이 귀인하는 것으로 능력 (ability), 노력(effort), 운(luck). 과제의 난이도(task difficulty) 네 가지 요소 제시함.

귀인 차원에 따른 귀인 분류

<표에 관한 설명>

▪원인의 통제소재(locus of control): 원인의 출처를 묻는 것으로, 성공과 실패의 원인을 학생 자신(내부)에서 찾느냐 아 니면 환경(외부)에서 찾느냐와 관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능력과 노력은 학습자 자신에게서 발생된 것이기 때문에 내적 차원으로 분류되고, 학습과제의 난이도와 운은 학습자의 외부에서 발생된 것이기 때문에 외적 차원으로 분류된다.

▪안정성(stability):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황이 바뀌어도 항상성을 가지는 요인이냐 아니면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할 수 있는 불안정한 요인이냐를 근거로 해서 원인을 구별한다. 능력은 시간과 상황이 바뀌어도 크게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적 요인으로 간주 된다. 그러나 노력, 운은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불안정한 요인으로 분류된다.

▪통제 가능성(controllability) : 학습자의 의지에 의해 통제될 수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로 통제 가능 또는 통제 불 가능 차원으로 분류된다. 노력은 학습자 의지에 따라 통제되므로 통제 가능한 차원 으로 분류하지만 능력, 운, 과제의 난이도는 의지와는 무관한 것이므로 통제 불가능 한 차원으로 분류된다.

-귀인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 학습자가 학업 결과(성공과 실패)에 대한 원인을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따라서 후속적인 성취 지 향적 행동의 여부와 학습동기의 증감이 결정된다. 자신의 학업결과의 성공을 능력 이나 노력으로 귀인하고. 실패의 원인을 노력의 부족으로 돌리는 학생은 실패해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노력하게 될 것이다. 반면에 성공의 결과를 운으로 귀인하고, 실패에 대해서 능력부족으로 귀인하는 학습자들은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에 빠지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귀인 성향과 학업성취가 관계가 있다면 교사들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행동에 관해 사고하는 방식을 변화시킴으로써 학업성취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함.

인과적 귀인 모형

참고 가능 블로그 : [조직행동론] http://blog.naver.com/hfeel/220926874044

 

[조직행동론][동기부여] 내용이론

각 이론을 설명하는 '글'은 스터디에 참여한 분들의 의견 입니다.1. 매슬로우(Abraham Maslow) 욕구단계...

blog.naver.com

(2) 기대 이론(expectancy theory) 

▪성취하기 위한 개인의 노력은 보상에 대한 그들의 기대에 달려 있다는 믿음을 기초로 한 동기이론.

Edwards(1954)와 Atkinson(1964): 동기(M)=인식된 성공 가능성(Ps)× 성공의 유인가(Is)

▪기대모델 또는 기대-가치 모델(expectancy-value model): 보상에 대한 개인의 기대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 즉 어떤 것을 성취하고자 하는 개인의 동기는 자신의 성공 확률에 대한 예상(인식 된 성공 가능성)과 그들이 성공에 부여하는 가치(성공의 유인가)에 달려있다는 것 임.

(3) 목표이론(goal theory)

Dweck의 목표이론 분류

(4) 자기가치 이론(self-worth theory)

-코빙튼(Covington)

-사람들은 자신을 가치 있고 유능한 존재로 평가받기를 원함

-실패하면 자기가치가 손상되므로 다양한 자기보호전략을 사용함 실패는 능력부족보다는 노력부족이나 외적요인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함 “중간고사 준비 하나도 못했는데....”, “난 이번 중간고사는 포기하기로 했어”

-실패 회피형은 실패 수용형이 되기 쉬움

사회학습이론적 접근

행동주의 이론을 인지이론으로 이끄는 다리가 되었기 때문에, 인지이론과 중복현상이 있음.

(1) 자기효능감(self-efficacy) 이론

▪Bandura(1977): 행동을 매개하는 인지적 자기평가의 기제로서 자기효능감의 개념을 제시함. 자기효능감이란 개인이 어떤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 요구되는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 특정한 과제의 수행이나 학업성취 상황에서 수행을 촉진시키는 중요한 개인적 특성. ▪Schunk(1989)와 Zimmerman(1989): 자기효능감을 과제의 성공적인 수행에 필요한 인지적, 행동적 및 사회적 기능을 구조화하여 수행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확신감이라고 정의함. 즉 자기효능감이란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개인적 판단 및 신념 으로서 활동의 선택 및 노력의 양과 지속성을 결정하는 구인이다.

▪Bandura(1977): 자기효능감은 개인이 성취 장면에서 자신의 능력에 대해 가지는 기대라고도 볼 수 있는데, 그는 이러한 기대를 결과기대와 효능기대로 구분. ①결과기대는 어떤 행동이 어떤 결과를 산출할 것이라는 확률추정치로서 어떤 결과를 얻으려면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지식을 의미하며, ②효능기대 자신이 어떤 성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신념을 의미한다.

▪Bandura(1977): 학업 상황에서 자기효능감을 판단하는 데는 정보의 네 가지 주요한 근원, 즉 실제 경험, 대리 경험, 언어적 설득, 생리적 각성 등이 있다고 하였다.

① 실제 경험(actual experience): 과거의 성공과 실패는 중요한 자기효능감 판단 의 근원이 된다. 성공은 자기효능감에 대한 평가를 높이고 실패는 그것을 낮추게 된다.

② 대리 경험(vicarious experience): 효능감에 대한 자기 지각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학습자들은 친구들이 과제를 완수하는 것을 본 후 자신도 그 과제를 수 행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

③ 언어적 설득(verbal persuasion): 정도가 약하지만 자기효능감 판단에 영향을 준다. 교사나 부모의 격려가 새로운 과제에 대한 학생의 자신감을 높여 줄 수 있다.

④ 생리적 각성(physiological arousal): 과거에 높은 시험불안이 학습자의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면, 그 학습자는 수행능력에 대한 확신을 잃게 될 것이다.

▪Schunk(1990):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은 스스로에게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도록 하여 보다 상위의 과제에 도전하려는 열정을 갖게 한다고 하였다. 그 도전하려는 경향은 학습자의 동기와 직결되며, 학습자의 학업성취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자기 효능감은 학습을 수행하는 동안에 진행되는 학습자들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준 다. 자기효능감을 지니고 있는 학습자는 과제에 집중하는 반면에, 그렇지 않은 학습 자들은 스스로 무력감을 느끼게 되어 과제를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학생들 의 자기효능감 수준은 자기 충족적 예언과 관련이 있다. 학생들이 무엇인가를 할 수 있다고 믿을 때 그들은 더 많은 노력을 하며 궁극적으로 자신들의 목표를 달성 할 수 있다. 그러나 학생들이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있다면 그들은 성공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결과적으로 노력도 거의 하지 않는다. 당연히 결과는 실패이며 미래의 실패 또한 예견된다. 유능한 교사는 학생들에게 실제적이고, 매우 구체적인, 그리고 성취 가능한 목표를 줌으로써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기대×가치(expectancy × value) 이론

-기대: 학습과제를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성공 확률에 대한 기대)

-가치: 그 성공으로부터 얻는 것이 가치 있다는 판단(주관적인 가치판단)

-에클스와 위그필드(Eccles & Wigfield): 비용(cost)을 추가

+) 본능론(instinct theory)

(1) Darwin의 본능론 본능론이란 인간도 동물과 마찬가지로 생리적인 압력에 의해 동기화되기 때문에 인간 행동의 동기는 통제할 수 없는 것이라고 보는 것.

(2) W. James(1890) “사전에 학습한 일도 없고 결과에 대한 통찰도 없이 어떤 목적을 달성하는 것”과 같은 행동을 본능적 행동이라고 함.

(3) McDougall(1908) 인간의 본능을 여러 개로 구분함. 그는 본능을 인간 정신의 가장 근원적인 것으로 인정하였으며, 모든 행동의 근원이라고 생각하여 사회적 행동까지도 본능으로 보았음.

(4) S. Freud 삶의 본능(eros) - 성 행동에서 표현 죽음의 본능(thanatos) - 공격 행위의 바탕이 됨.

3. 동기의 유형

1) 수면동기

▪사람들은 일생의 1/3을 자면서 보낸다. ‘왜 인간은 잠을 자는가?’하는 수면연구는 1960년대 초반부터 활기를 띠고 무려 60여 가지가 넘는 수면이론이 제시되었지만, 아직 수면(잠)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정의하는데 성공하지 못함.

▪수면은 왜 주기적으로 오는가? ① 화학물질(피로물질)의 축적 때문. 그러나 샴쌍둥이의 경우 각자가 따로 잠을 자는 경우도 있어서 이 이론은지지 받지 못하고 있음. ② 뇌간의 상행망양부활계(ARAS)가 수면각성 주기에 관여함. 만성적으로 이 조직이 파괴된 동물에서도 수면각성 주기가 나타나 이 조직이 절대적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짐. ③ 뇌간에 있는 세로토닌과 노에피네트린 및 이들 대사산물의 상대적 농도에 의하여 수면각성 주기가 나타남.

생체리듬을 조절한다고 생각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도 이 세로토닌계 물질이다. 밝으면 분비가 감소하고 눈의 망막에 빛 자극이 없어지면 분비가 증가하여 자정 쯤에 분비가 최고에 달하고 차츰 감소하다가 오전 6~7시쯤에 최저로 낮아진다.

▪수면연구자들은 인간의 두피 위에 전극을 부착하여 뇌의 전기적 활동인 뇌전도 (electroencephalogram: EEG), 즉 뇌파를 측정하여 각성과 수면기간 동안 나타나는 EEG가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함. 즉, 깨어있는 상태에서 깊은 잠에 들기까지에는 몇 개의 단계를 거친다. 졸리기 시작하는 제1수면기에서 가벼운 잠이 드는 제2단계를 거쳐 깊은 잠이 드는 제4수면기 까지 나누는데 각 수면기는 소견상 나타나는 뇌파(EEG)의 특징에 의해 나뉜다. 이 네 단계의 수면기는 뇌파가 깨어 있을 때보다 느린 파동을 보이기 때문에 서 파수면(徐波睡眠) 이라고 하는데 하룻밤 7~8시간 자는 동안에 90분 간격으로 4~5 회 반복하여 나타난다. 수면 개시 후 약 90분이 경과하는 제4단계 수면이 끝나면 앞의 수면 단계에서 나타난 것과는 다른 여러 가지 생리적 반응의 변화가 나타난 다. 즉 두피에서 기록한 EEG 파형은 갑자기 깨어있을 때처럼 진폭이 작고 빠른 파 형을 보인다. 그리고 눈꺼풀은 닫혀있는데도 눈동자가 빠르게 움직인다. 이 때문에 이 단계 수면을 빠른 눈동자 운동이 나타나는 수면이라 하여 REM(Rapid Eyes Movement) 수면이라고 한다. 반면에 REM 수면 앞뒤에 일어나는 뇌의 활동이 느려지는 수면을 이에 맞춰서 비 REM 수면(non-REM sleep)이라고 한다. 성인의 경우 REM 수면은 수면 전체의 약 20∼25%를 차지한다. 유아의 경우 약 50%가 REM 수면이며 만 5세가 지나야 보통 성인의 수준이 된다. 노인이 되면 전체 수면과 REM 수면이 모두 감소하게 된다.

▪수면 시간은 몇 시간이 적당한가? 이는 사람마다 다른 습관의 문제일 뿐이며, 양보다는 질이 문제다. 비REM 수면을 거쳐 REM 수면이 끝난 뒤 바로 깨는 패턴만 유지되면 5시간 정도로 충분하다. REM 수면의 또 하나의 특징은 이때 꿈을 꾼다는 것이다. REM 수면 도중 깨운 사람의 60-90%에서 꿈을 꾸는 중에 깨었다고 한다.

▪꿈 때문에 REM 수면이 나타나느냐, 혹은 REM 수면 때문에 꿈을 꾸느냐? 실험에 의하면 시각을 통한 경험이 없어서 아직 눈동자를 움직이는 꿈을 꿀 수 없는 신생아나 선천성 시각 상실자에서도 REM 수면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REM 수면이 꿈을 유도한다고 보고 있다. 꿈을 꾸지 않는 사람은 없고 건강한 사람은 누구나 규칙적으로 꿈을 꾼다. 꿈을 꾼 후 10분만 깊게 자버리면 꿈은 기억에서 사라 진다. 그래서 깊은 잠을 자지 못할 때 그것을 기억하고 꿈을 자주 꾸는 것으로 느끼는 것뿐이다.

2) 감각자극 추구 동기

▪동기가 신체의 내적 긴장을 감소시키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욕구감소이론은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것과 모순되는 경우가 많음.

▪감각자극 감소(sensory deprivation): 1950년대 캐나다의 McGill대학교 학생들은 그냥 눈감고 누워있는 일을 하고서 그 당시 돈으로 20달러(현재 약 100달러)를 받는 실험에 참가했다. 학생들은 각자 격리 된 장소에서 눈을 가리고 팔은 붕대로 감고, 되도록 아무런 감각도 느끼지 못하도 록 일체의 자극 변화가 없도록 장치했으며, 식사 시간과 화장실에 가는 시간에만 이런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하였다. 이 때 실험에 참가한 학생들은 될 수 있는 한 오래 있을수록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데도 불구하고 2~3일 후에는 대부분이 실 험을 포기했다. 48시간 이상 실험에 참가하였던 피험자들에게는 환각 같은 증상들 이 나타났다. 어떤 피험자들은 불빛의 섬광과 기하학적인 형태에서부터 꿈과 같은 시각적 환각까지 경험했다.

3) 성취동기(achievement motive)

▪도전할 만한 일을 이룩하려는 동기. : D. McClelland(1958)가 처음 제시함. 개인의 동기 체계를 TAT(Thematic Apperception Test)와 같은 투사적 성격 검사 를 통하여 성취 심상을 측정함으로써 개인의 성취동기 수준을 결정함. 일반적으로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은 자기가 스스로 설정한 성취수준에 도달함으로 써 만족을 얻기 때문에 이들은 경쟁적인 사회에서 자신감을 갖고 모든 일을 수행하 고 사회적 압력이나 유혹에 굴하지 않고 스스로 난관을 돌파하여 나아간다.

▪M. Horner(1969)의 성공회피 동기: Horner의 문장 완성 연구에서 “1학기말 시험을 마치고 나서 Anne은 의과대학의 자기 학년의 수석이라는 것을 알았다”라는 문장을 주고 이 이야기를 환성해 보도록 함. 여학생들의 65%이상이 여성의 성공을 두려워하고 회피하는 문장으로 완성하였다. 여학생들은 Anne은 여드름투성이의 못난 얼굴이며, 중성화되어 있고, 비여성적이라 는 등 Anne의 미래를 불행으로 완성하였음. 그러나 남학생들에게 Anne을 Jone으로 바꾸어 문장완성을 하게 한 결과, 남학생의 10%만이 성공에 대한 두려움을 나타냄. 즉, 여성의 성공을 부정적이고 비관적으로 보게 된 것은 여성들에 대한 사회적 압력과 고정관념에 그 원인이 있음.

<용어>

-성취과제에 접근/회피하려는 경향성 =(성공동기×성공가능성×성공유인가) - (실패회피동기×실패가능성×실패유인가)

성공동기: 성공하고 싶은 욕구

성공가능성: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성공유인가: 성공한 후에 느끼게 될 자부심

실패회피동기: 실패를 피하고 싶은 욕구

실패가능성: 실패할 것이라는 기대

실패유인가: 실패한 후에 느끼게 될 수치심 혹은 창피함

성공가능성과 성공유인가는 서로 반비례

실패가능성과 실패유인가도 서로 반비례

-성공동기가 높은 학생은 중간정도의 난이도를 가진 과제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음

-실패회피동기가 높은 학생은 아주 어렵거나 아주 쉬운 과제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음

-성공가능성이 너무 높거나 낮으면 성취동기를 유발시키지 못함

-성취동기가 높은 학생: 성공/실패에 대한 내적 귀인

- 성취동기가 낮은 학생: 성공/실패에 대한 외적 귀인

4. 학습동기 향상 방안

1) 교사 변인

-교사의 자기효능감: 교사로서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뢰

-교사의 열정과 열의

-학생에 대한 교사의 배려

-교사의 기대: 피그말리온 효과

자기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

스티그마(stigma)효과/golem 효과/낙인효과(labeling effect)

지속되는 기대효과(sustaining expectation effect)

2) 교수방법 변인

-협동학습(copperative learning)

-학생의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

-학습목표와 학습결과에 대한 확인

-적절한 상과 벌 사용

-학생의 자율성과 자기결단이 장려되는 학습분위기

3) 과제변인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는 학습과제

-학생에게 가치 있다고 여겨지는 학습과제

-적절한 난이도의 학습과제

4) 학자 주장

▪Brophy(1988):

① 자유로운 교실분위기, 학습자의 실수에 대한 교사의 허용과 지지, 가치 있는 학습과제의 조건을 갖추어야 함.

② 학습자들에게 자신감을 갖게 하고 긍정적인 기대를 형성해주어야 함. 이를 위해 제시된 구체적인 방안은 다음과 같음. 

- 학습수준과 학습속도를 학습자들의 수준에 맞추어라.

- 명확하고 구체적이며 가까운 시일 내에 달성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라.

- 동료 학생들과 비교하지 말고, 자기비교를 하도록 하라.

- 학습자들이 노력하면 학습결과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믿음을 갖게 하라.

-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훌륭한 문제해결의 모범이 되어야 하며, 교사의 의도적인 노력에 의해서도 학생들의 학습동기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Slavin(2003):

①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해야 한다.

② 호기심을 유지시켜야 한다.

③ 다양하고 흥미로운 제시 방법을 사용한다.

④ 학생들이 목표를 세우도록 도와준다.

▪ 켈러(Keller)의 ARCS모형

-Attention(주의) 끌기 학생의 지각을 자극: 그림, 삽화, 음악, 유머 학생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 다양한 수업 활동

-Relevance(관련성) 높이기: “왜 내가 이것을 배워야 하는가?” 목적지향성: “이 내용을 알고 나면 ...을 더 잘할 수 있게 될 거야” 학생의 동기와 가치에 부합되는 수업내용 학생에게 친숙한 내용

-Confidence(자신감) 심기 분명한 학습목표 제시 성공경험 제공 학생 스스로 자신의 학습과정을 통제

-Satisfaction(만족감) 주기

자연적 결과(natural consequences): 학습한 내용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회 제공

긍정적 결과(positive consequences): 학습이 이루어지고 난 후 긍정적인 보상 (칭찬, 상장, 수료증)을 제공

공정성(equity): 학생이 설정한 목표와 기대가 학습결과와 일치하고,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대가 일관적이라는 인식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