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다행복하자고하는거지/독서&영화 (61)
Note
더보기 570p ver. 36p 심판의 날이 정말로 있다면, 그때 받게 될 가장 중요한 질문은 우리가 시간을 어떻게 사용했느냐가 될 것이다. 즉 당신이 무엇을 했느냐는 말이다. 무엇을 하며 하루를, 한 주를, 한 해를 보냈는가? 너무 바빠서 자신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게 분명한 목표들에는 집중하지 못하고 바보가 된 것 같은 기분을 느끼지는 않았는가? 하루는 누구에게나 24시간이다. 삶의 양상은, 그러니까 현재 우리를 둘러싼 환경은 우리가 어떻게 시간을 보냈는지에 대한 일종의 장부라 할 수 있다. 우리가 지녔던 목적, 영향력, 시간을 사용하는 방법이 반영되어 있는 것이다. 57p 현명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그는 밝혀진 '사실들'을 이성적으로 복기했다. 가능성 있는 행동방침과 그 장단점을 적어내려가기도 했..
회사, 언제까지 다닐 수 있니?로 제목을 바꿔야 할 것같다.ㅜㅜ * 펀드명 읽는 법 피델리티차이나증권자투자신탁(주식)S = 피델리티(운용사)차이나(투자국가)증권(자산종류)자(모펀드, 자펀드 구분)투자 신탁(법적 성격)주식(주 운용 자산 = 주식형/채권형/주식 혼합형/채권 혼합형 으로 구분)S(수수료 구분) * 펀드 클래스의 종류 A : 1회성 선취 수수료 내는 대신, 매년 운용 보수는 C클래스에 비해 저렴 C : 선취 수수료가 없는 대신, 매년 운용 보수는 A클래스에 비해 높음 A-e : A클래스의 온라인 전용 펀드 C-e : C클래스의 온라인 전용 펀드 S : 펀드 슈퍼마켓 에서 판매하는 펀드 P : 연금 계좌 전용 펀드 P2 : 퇴직연금 계좌 전용 펀드 Pe, P2e : 연금 계좌 및 퇴직연금 온라인..
현대 사회의 선진국들은 저출산에 시달리고 있다. 분명 진보된 기술과 풍부한 경제력으로 보다 안락한 삶을 누리고 있음에도 자신의 DNA를 복제하고자 하는 종의 본능을 거스르는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에 관해 한 논문에서는 1) 현대의 극히 낮은 출산율은 수렵-채집 생활에 맞추어진 우리의 심리적 적응이 진화적으로 낯선 환경과 불협화음을 일으킴에 따른 부적응적인 부산물이라는 가설, 2)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이 자녀를 적게 낳는 행동이 전파되거나, 가족 중심의 네트워크가 붕괴하여 출산의 중요성이 덜 강조됨에 따라 저출산이 야기되었다는 유전자-문화 공진화 가설 3) 부모가 자녀에게 투자하는 양이 대단히 많이 요구되는 현대의 환경에서 극심한 저출산은 부모의 장기적인 적합도를 최대화하는 적응적인 형질..
저 기괴한 포스터때문에 언제나 망설여졌던 . 90년대의 영화 특유의 분위기를 한껏 뽐내는 듯한 포스터에 끌려 다시 보게 되었다. 90년대 특유의 분위기가 좋다. 90년대는 고도성장기로 풍요가 가득했다고 생각하는데 그 이면에 무엇이 있었길래 이 당시의 영화들은 모두 인간에 대해 깊은 고찰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풍요 속에 빈곤이라는 걸까. 아니면 풍요롭기에 예술이 흥할 수 있었던 걸까. 인간에 대한 고찰이 사라질 수록 실은 우리는 빈곤 속에 허덕이고 있는지도. (통계적으로는 세계 빈곤율이 가장 낮은 것이 지금이라는 점이 아이러니. 우리는 상대적 빈곤에 시달리고 있다.) 볼품없는 인형술사 크레이그가 15분 동안 유명배우 존 말코비치가 될 수 있는 통로를 우연히 발견하게 되면서 벌어지는 일들을 그리고 있다...
굿플레이스는 미드답지 않게 짧은 시즌과 짧은 시간 (20분 가량의 러닝타임)을 가진 미드다. 형형색색의 옷을 입은 주인공들에 이끌려 시청하였는데 이렇게 빠져들줄 몰랐다. youtu.be/29iKAAeRvI4 살아생전 착한 일을 한 사람만 올 수 있는 굿플레이스에 실수로 오게된 엘리너 중심으로 시즌1은 돌아간다. 시즌이 진행될수록 엘리너 이외의 인물들에게도 스포트라이트가 많이 돌아가게 되는데 각양각색의 인간군상이 모인 만큼 이야기도 각양각색이다. 하지만 이 인물들 모두 꼭 나의 일부인 것처럼 느껴지는 것이 굿플레이스의 매력. 엘리너는 사실 진짜 못된 (진짜 못됬다. 뻔뻔스럽고 자기반성이 전혀 없는 인물) 인물로 자기가 생각해도 배드플레이스에 가야 하는 것이 마땅하나 배드플레이스의 끔찍한 소리를 듣고 굿플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