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e
[필사/생각] 나는매일매일부자로산다 - 닉 할릭, 개릿군더슨(2020) 본문
매우 직관적이고 부담스러운 제목에 비해 내용은 익숙하고 멘탈 관리 측면에서 좋다. 모든 경제적 자유에 관한 책들은 물질과 행복을 동일시 하지 말라는 점이 괄목할 만한 부분.
* 철석같이 믿고 있는 정부의 사회 안전 보장 제도가 사실은 잘못된 투자 결정 및 재무 시스템 때문에 당뇨병에 걸린 환자처럼 이미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그들은 까맣게 모릅니다. 정부의 정책들은 당뇨병에 걸린 은퇴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정상으로 돌리기 위한 인슐린 주사에 불과 합니다.
-> 그런데 그 인슐린 주사가 양적완화, 유동성이라는 이름으로 지옥가는 시장을 현실에 붙잡고 있는 것아닌가? 병든 은퇴 시스템은 끝내 죽지 않을 것같은데..
* 돈 지키기 / 돈 벌기 -> 돈 불리기 (성장 투자와 모멘텀 투자) -> 도전 (부수적인 프로젝트) -> 목적 있는 삶
* 불로소득 - 근로소득 척도
: 로열티/지식재산권/수수료 - 사업 소유 (운영X) - 멤버십 또는 서비스 협약 - 판매 - 사업 소유(운영 O) - 근로자
-> 생각해보니, 미국의 경우 적극적으로 의결권을 행사함으로써 투자회사가 회사 운영을 하는 행동주의 투자자들도 종종 보인다. 이 경우 부동산보다 훨씬 수익률이 높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도 그런 경우가 있을까? 동북아시아권은 대체로 부동산 투자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비추어 지는데 금융시장이 훨씬 발달한 서양권과 통계적인 비교가 궁금하다. 이를 테면, 런던 집값을 보면 또 막상 부동산 선호도가 서양이라고 해서 적은건 아닌거 같기도 하고.
* 절감해야 할 단 하나의 지출
- 학자금 대출의 경우 (완벽하게) 생산적인 지출일까?
* 15% 종잣돈 통장 : 세금 3% 인플레이션 방어 3% 기술 변화(기술이 발전하면 비용은 감소. 기술이 적용된 무엇인가를 구매해야) 3% 소비 행태 변화(사치품이 생필품이 되는 경우가 많음. 이를테면 휴대폰.) 3% 소모품 교체를 위한 3%
3% 소비 통장 : 편안하게 재충전시켜주는 것들. 맘껏 쓰는 통장.
* 이 세상에 쓸모없고 자원 활용 능력이 없는 사람은 그 누구도 없습니다. 스스로 한계를 설정해 자신을 과소평가하는 사람만 있을 뿐입니다.
* 온라인 사업
-> 축소 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에서 공유경제는 얼만큼 성장할 것인가?
-> 위워크 스팩을 통한 우회 상장 예정중. (2019 거품론 2021 하반기 상장 예쩡)
* 기회를 찾는 것보다 더 어려운 것은 어떤 기회를 잡아야 하는지 결정하는 것입니다. 우리 모두는 매일 매 순간 무한한 기회의 바다에서 헤엄치고 있습니다. 지금 어떤 것이 중요하고 어떤 것이 중요하지 않은지 판단하는 것은 정말로 힘든 일입니다.
-> 좋아하는 것 / 잘하는 것 / 시장 수요의 삼박자가 맞아야.
* 만약 위임을 할 수 없고 당신 스스로 일하는 것 말고는 다른 방법이 전혀 없다면 당신은 지금 사업이 아니라 당신을 위한 직업을 만들고 있습니다. 소득을 위해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경우에만 계속 그 일을 하고, 그렇지 않다면 가능한 한 빨리 다른 일을 하는 편이 좋습니다.
* 부동산 투자, 현금 흐름이 가장 중요하다 ; 레버리지 효과, 자산 가치 사승, 자연스러운 인플레이션 방어, 세금 혜택 증가, 중도 인출 수수료 없음. 내부자 거래에 대한 벌칙 없음.
-> 자연스러운 인플레이션 방어가 아니라 부동산이 인플레이션을 끌어 올리고 있잖아여 엉엉 내부자 거래에 대한 벌칙도 있는데여ㅓㅓ
* 좋은 거래를 발견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좋은 기회가 나타타면 순식간에 낚아채야 합니다.
* 마음가짐. 몰입과 끈기. 자신에 대한 믿음과 신념. 두려움 극복하기. 스트레스 이용하기. 주변의 부정적인 불평에 영향받지 않기. 결국 내 선택임을 인지.
* 매일매일 주말인 삶은 매일 TV를 원 없이 볼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더 큰 기여와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시간이 증가한다는 의미 입니다.
* 자신이 하려고 하는 것을 분명하게 알고 있으며, 어떤 성과가 자신들에게 성공인지도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는 변하지 않고 명확해야 합니다. 당신 자신의 삶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지 않으면 다른 사람의 삶을 당신의 우선순위에 두고 살아가야 합니다.
* 어떤 목적이 나를 기다리고 있는 것처럼 기다리지 말고 찾지 말고 창조하라. 재능을 발견하고 행복을 추구. 아마추어가 아니라 프로처럼 살기. 두려워하는 것을 하기. 돈 버는 것을 목적으로 추구하지 말기.(돈은 가치의 교환이기 때문에 내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가치를 높여야 한다.) 목표를 서면으로 작성하기. 꿈은 크게, 실행은 작게.
* 예스맨에서 벗어나기. 한번 해볼까? 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 아닌 이건 무조건 해야 해! 라고 생각하는 것에 임하기. 시간 가치를 소중하게 여기고 내 이상적인 삶에 방해가 되는 것들에 아니요라고 말해야 한다. 종종 상대편을 기쁘게 하거나 실망시키지 않기 위해 예라고 말한다. 상대편 의견에 예라고 할수록, 내 자신에 대해서는 더 많이 아니요라고 해야 한다. 과도하게 상대편 의견에 공감하지 말고 나의 요구에 초점을 더 맞추어야 한다.
* 물질주의는 행복을 만들지 못한다. 단순함과 행복을 더 많이 창조해야 한다. (1) 소유한 물건과 자신을 동일시하지 않기. (2) 남과 비교하지 않기. (3) 다른 사람에게 자랑하지 않기. (4) 당신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 찾기. (5) 감사하는 마음으로 현재에 충실하기 (6) 광고 멀리하기. (7) 6개월 마다 잡동사니 싹 치우기. 참견쟁이는 무시하자.
'#다행복하자고하는거지 > 독서&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리뷰] 결혼이야기(2019) (0) | 2021.09.05 |
---|---|
[영화] 아메리칸 뷰티(1999) : 이상과 현실 사이 (0) | 2021.08.17 |
21년 여름 (0) | 2021.07.22 |
[영화]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 이동진 평론 (0) | 2021.07.09 |
[독서] 부의 추월차선 (0) | 2021.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