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e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역량 교육의 성격과 특징 본문

#학습/교육학이론과 실제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역량 교육의 성격과 특징

참잘했을까요? 2021. 5. 3. 16:48
반응형
  • 역량 기반 교육과정 - 실제적 삶 속에서 무언가를 할 줄 아는 실질적인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핵심역량을 제시
    • 필요성 - 미래 사회는 지식을 많이 습득하는 것보다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생성하는 것을 요구한다고 보았기 때문.
    •  비판점 - 여전히 표준이라고 간주되는 인식능력에 부합되거나 가까울수록 우수한 학습자로 인식된다. 또한, 새로이 생성되는 창조적인 인식능력들이 고려되지 못한다.
    • 교육과정 조직 : 코스나 산물보다는 과정으로 보아 미리 결정된 지식/내용을 전달하거나 성취해야할 목표를 처방하기 보다 학생 역량 이해 발달에 중점을 둔다. 
    • 지식관 : 고정적이고 영구적인 것이라기 보다는 임시적이고 잠정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경험주의적 관점을 취하므로 감각과 경험을 통해 지식을 획득한다고 본다. 하지만 모든 지식을 개인적이고 주관적이라고 보는 급진적 관점은 아니다. 지식은 가설적인 것으로 변화, 수정, 진화가 가능한 것으로 보는 것이다. Dewey의 지식관에 따라 시대에 따라 영구적인 지위를 갖지 못한다는 점을 수용한 것이다.
    • 학습자, 교사 : 적극적인 의미 구성자. 학습자 -> 단순히 지식을 재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가는 삶 속에서 다양한 경험을 통해 지식을 구성하고 발전시켜 가는 존재. 교사 -> 특정 지식체의 가치를 전달하기보다 학습자의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경험을 탐색하고 구성. 이들 모두 문화 자원을 들이마시기보다는 이를 향유하는 사람들로 간주된다. 
    • 출발점 :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명료하게 드러내는 것.

 

[출처]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다시 생각하는 역량 교육 : Deleuze의 존재론에 기초하여, 박지애 외 3인, 2019

교육과정의 이해 제 3판, 소경희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