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자본주의/주식 (102)
Note
코로나 19 관련 1. 마스크 의무 착용, 검사 확대, 치료제 및 백신 무료제공 등 적극적 정책 관측 2. WHO 재가입 추진 전망 이민 정책 1. 미국내 불법 이민자 불법 체류 청소년에게 시민권 획득 기회 제공 확대 등 관용적 정책 강조 미국내 경제 1. 법인세 최고세율 인상(현행 21%->28%) 등 기업 감세 정책 철회, 노동조합 권리 확대 2. 개인소득세 최고세율 29.8% 재도입 3. Buy America 연방정부 4000억 달러 미국산 제품/서비스 구매 4. 최저임금 시간당 15달러로 인상 외교정책 및 무역 1. 전통적 동맹과의 관계 회복에 주력 2. 이란 핵합의 복귀 등 중동 분쟁 해결 등 외교적 해법 추진 예상 3. 무역 협상 시 인권, 노동, 환경 관련 기준 핵심적으로 포함 4. 환율조작..
갑작스러운 지출에 대비하는 비상금 통장. - 증권사 금융상품 CMA 추천 - RP(repurchase agreement)로 개설할 것을 권함. : 약정된 조건으로 원리금을 지급하는 채권 (즉, 채권에 투자해 수익금을 고정 금리 형태로 받기 때문에 추천.) - 리스크 : 증권사가 망하면 예금자 보호법으로 구제받을 수 없음. 통장이 지켜주는 것은 돈만이 아니다. - 리빙과 라이프의 적절함을 추구할 것. - 라이프 : 살아 있음. 여행 등의 시간들. - 리빙 : 삶을 유지하기 위해 소비. 일하는 시간. 마이너스 통장? 신용대출? - 여행 경비처럼 필요 금액이 적거나 상환 기간이 짧으면 마이너스 통장 대출 - 차 구매처럼 필요 금액이 크거나 상환 기간이 길면 신용 대출 대출 상환 유형 만기 일시 상환 마지막 날..

의외로 쉬웠다. 먼저 한국투자어플에 들어간다. 그리고 종목 검색에 청약을 들어간다. 공모주/실권주 청약을 누른다. 그럼 지금 청약접수를 받는 카카오게임즈가 뜨고 누른 뒤에 원하는 주만큼 넣으면 된다. 청약경쟁률이 어마어마할 것으로 예상되서 꽤 많은 돈을 넣어야 청약에 당첨될 것으로 예상된다.
** 개인적인 공부 일기. 주식을 이제 막 배우기 시작한 사람의 아~주 짧고 얕은 공부 일기임을 미리 밝힙니다. - 22일 (한국시간) 4% 하락 장마감 (1568.36$)어닝서프라이즈가 오면?1. S&P 500 지수 편입 가능. - 편입되면 ETF 신규자금이 유입되어 주가가 폭등할 수 있음.2. S&P 500 지수 편입되려면- 4분기 연속 GAAP 회계기준 흑자가 필요. (현재 3분기 연속 흑자) 그런데 어닝쇼크가 오면?떨어질까? 과연? 우리나라 테슬라 관련주라고 알려진 것 : 센트랄 모텍- 알루미늄 컨트롤 암 독점공급.- 알루미늄 컨트롤 암 이란? 자동차 본체와 바퀴 연결 부품.https://news.mt.co.kr/mtview.php?no=2019112510285252025 5.26 38,050 -..
환율우대란? 만일 80% 우대라면, 매매기준율에서 80%는 나를 준다는 것. 현찰로 그냥 살 때에는 1224.8원에 구매해야하지만 현재 원달러 1203.8과의 차이인 21원 중 80%인 16.8은 나를 주고 나머지는 금융사에서 가져간다는 뜻. 즉, 1224.8에 사야할 것을 80%우대받아 1224.8-16.8=1208에 사게된다. 팔 때도 동일하게 적용. 좀더 간단히 보자. 현찰 살 때 현찰 팔 때 환율우대 없음 1$ 1224.56 1$ 1,182.44 환율우대 90% 1,205.61 1,201.39 환율우대 80% 1,207.71 1,199.29 만일 환율우대 90%를 받았다면 1205에 사서 1201에 팔게 되므로 4원의 손해가 발생. - 59,995\ @1,196.32 (20년 7월 환율) USD ..
책 한 권을 읽는 것보다 9분짜리 유투브가 훨씬 더 많은 정보를 요약해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시대에 생각이 자꾸만 3줄요약버전으로 머무름을 느낀다. 논리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사람이 되려면 떠다니는 생각을 잡아둘 필요가 있다. 어차피 여기는 내 개인 일기장이니까 그냥 이런저런 생각을 정리해보아야지. youtu.be/1sq5_1kCXag 그러니까 결국 자본주의는 현재로써 가장 최선의 경제 형태인 것이다. 이는 사회와 개인 전체의 성장을 주도하므로 결국 삶의 질은 향상되며 문명이 더욱 꽃피울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결국 이러한 자본주의는 끝없는 인플레이션이 필요한 구조다. 자본주의가 성장을 이끄는 것은 사실이나, 동시에 성장을 해야만 자본주의는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성장은 누구에게 돌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