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e

20대, 미혼, 사회초년생의 2021년 청약 알아보기 (feat. 염병) 본문

#자본주의/부동산

20대, 미혼, 사회초년생의 2021년 청약 알아보기 (feat. 염병)

참잘했을까요? 2021. 7. 12. 18:13
반응형
3기 신도시

자, 그대 미혼인가? 그렇담 생애최초청약 또한 기혼자에게 주어지는 기회라는 점을 알아두자. 저 위의 입주대상 중 미혼인 그대에게 해당하는 것은 <일반>뿐이다. (노부모부양가구도 가능하나, 일단 20대라면 늦둥이가 아닌 이상 부모님께서 노부모 나이에 충족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리고 <일반>의 경우 공공분양이므로 가점제다. 청약통장을 오래 납입한 납입금 순이므로 20대인 사회초년생 그대의 자리는 거의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https://www.xn--3-3u6ey6lv7rsa.kr/kor/CMS/Contents/Contents.do?mCode=MN142

3기 신도시>사전청약안내>자격조건과 선정방식>입주자격 및 입주자 선정방식

입주대상별 선정방식 사전 입주자 모집(사전청약)의 조건은 일반 입주자 모집 조건과 동일 공급대상자별 자격사항 요건 자격요건 상세표 공급대상자별 자격사항 요건 표(특별공급) 공급대상자

www.xn--3-3u6ey6lv7rsa.kr

LH분양

투기로 난리 났던 LH공사에서 분양하는 것은 공공분양이다. 앞서 설명했듯 공공분양은 가점제다. 공공분양의 가점이란 청약통장 납입기간과 납입금액이다. 그대가 태어나자마자 청약통장을 만든 것이 아니라면 여기 또한 그대의 자리가 없다. 그래도 소득기준을 아직 안넘으니 어딘가. 30대가 되면 소득기준 마저 아득히 넘어버릴 것이다^^


추첨제


남은 것은 추첨제다. 민간분양 중 대형평수(85제곱 이상)의 경우 추첨제를 채택하고 있다. 이마저도 50%만 추첨제인데 결국 로또에 되길 기다리는 것이 더 기회가 있는 셈이다. 로또는 매주 있기라도 하고, 구매라도 할 수 있지 않은가.


그래서 니가 생각하는 해답은 뭔데? 라고 묻는 다면, 나도 모른다, 이다. 여태껏 가점을 쌓아온 사람들에 비해 내가 청약이 되어야할 당위도 찾기 어렵다. 기혼자들에 비해 미혼인 내가 주택청약에 배정되야할 이유도 없다. 그런데 인간은 희망을 먹고 사는 존재다. 현재의 만족보다 미래에서 올 것으로 기대되는 만족(이를테면 일요일 밤보다 금요일 밤이 더 행복한 것처럼)이 더 큰 데, 주거문제로 어째 다들 희망을 잃어가는 것같다. 인생에 분명 기회는 온다. 하지만 그게 언젠지 모르겠는. 인생이 아득히 남은 20대에겐 가혹한 기다림인 것같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