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e
[ETF 분석] 곡물, 식량위기 관련 - TAGS, TILL,DBA,MOO 본문
반응형
TAGS
TILL
https://www.etf.com/TILL#overview
- 광범위한 농산물 선물에 투자.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
- 농산물 지수를 추종하는 ETF 답게 초장기투자로는 적합하지 않다.
- corn, wheat, soybeans, and sugar 선물 계약으로 구성. (4가지)
- TILL과 TAGS 모두 유사한 상품이다.
DBA
DBA 가 가장 유명한 농산물 ETF. 운용규모도 막대하다. 농산물 선물에 투자하고 나머지는 미국 채권 등에 투자하는 선물 추종 ETF 이다.
다만, 선물로 구성된 ETF는 롤오버 비용이 발생하는데 이 때문에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는 국면에서는 큰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다.
최근 (2022.7.6기준) 인플레이션과 기후위기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전반적인 증시 악화와 각종 이슈들로 오히려 하락 국면에 들어섰다.
원자재 슈퍼 사이클의 경우 전문가가 아니라면 쉽사리 손대면 안되는 영역인듯 싶다.
MOO
전세계의 곡물 관련 회사에 투자하는 ETF. 농산물 지수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데, 아무래도 원자재 선물로 구성된 다른 종목들에 비해 회사에 투자한다는 점에서 대체제로 취급받는 듯하다.
의외로 선물 추종하는 다른 상품보다는 선방중이다.
올해는 -8%로 상당히 주가가 좋지 않지만 그동안 꾸준히 성장해온 ETF. 처음 곡물을 공부할 때는 보이지 않았던 부분이다. 아무래도 원자재 선물보다는 회사가 회사보다는 부동산이 꾸준히 인플레이션에 노출되는 자산군인 듯.
반응형
'#자본주의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6.30(08공시) 버크셔헤서웨이 포지션 (0) | 2022.08.19 |
---|---|
(미해결) 치과 새장비 관련 투자 아이디어 (0) | 2022.07.07 |
2022년 청년 금융 관련 혜택 (0) | 2022.07.05 |
인플레이션이 온다? - 관련 뉴스들 (2) (0) | 2022.05.09 |
(안전자산) 국내 리츠주, 파킹통장 (0) | 2022.05.09 |
Comments